Project Description

 

※ Boris Müller의 「Why Do All Websites Look the Same?」을 번역 및 각색한 글입니다.

요즘의 인터넷 세상은 밋밋합니다. 모든 게 똑같아 보입니다. 일반적인 폰트 개성 없는 레이아웃, 별다를 것 없는 페이지, 눈에 띄는 시각적 언어의 부재, 타이포그래피도 엉망입니다. 창의성이나 아이디어보다는 기술과 이념상의 제약에 의해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모든 페이지가 박스로 가득하고, 그 안에 또 박스가 있고, 그 안에 또 박스가 있습니다. 마지막에 박스가 아니면 텍스트나 이미지가 있을 뿐입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진정으로 디자인을 했다고 말할 수 있는 건 없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요즘의 웹 테크놀로지에는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수많은 기능이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아이디어와 레이아웃을 구현할 수 있죠. 우리는 급진적이며 놀랍고도 혁신적인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창의적인 이미지와 인터랙티브한 요소에 실험적인 타이포그래피를 결합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디자이너를 위한 웹사이트조차도 박스, 안에 또 박스, 안에 또다시 박스가 있는 형식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창의성이라는 측면으로는 인터넷에서 가장 인기 있는 사이트인 드리블(Dribble)과 비핸스(Behance)마저도 기본적으로 진부하기는 마찬가지여서 다른 것으로 바꿔도 아무 상관 없을 정도입니다. 아래 보시다시피, 드리블과 비핸스의 차이점이 거의 없습니다.

 

모든 ‘웹사이트 디자인’이 진부해진 이유는 뭘까?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은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과 같은 기술적인 프레임워크나 워드프레스(WordPress)와 같은 블로깅 플랫폼들이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프레임워크 위에 올려진 웹페이지들은 하나하나 창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지, 제목, 본문,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 요소를 모아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템플릿은 디자인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관련된 데이터들을 규합하는 규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플랫폼들은 템플릿만 제공할 뿐, 사용자들이 페이지를 개성 있게 만들 수 있는 선택권을 주지는 않습니다. 여러분이 보는 것은 그저 템플릿 안에 쏟아 놓은 것들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템플릿은 콘텐츠를 신경 쓰지 않습니다. 바로 이것이 문제입니다.

디자인의 기본 원칙 중 하나는 형식과 내용을 깊이 있고, 의미 있게 연결하는 것입니다. 형식은 내용을 반영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내용과 형식이 분리되면 이런 원칙이 깨지는 것이며, 그저 콘텐츠가 담긴 평범한 형태만 남게 됩니다. 디자인의 측면에서 보자면, 템플릿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입니다. 형식이 내용에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웹사이트 디자인에서 창의성이 결핍된 이유는 아주 많습니다. 대부분은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이유입니다. 예를 들어 페이지를 하나하나 디자인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입니다. 온라인 뉴스의 속도와 새로운 기사가 쏟아지는 빈도를 고려했을 때, 대형 웹사이트들은 각각의 페이지들을 하나하나 새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여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웹사이트 디자인은 전문적인 기술 분야이기도 합니다. HTML, 자바스크립트, CSS 등은 디자이너들에게는 여전히 도전과제로 남아있습니다.

 

디자이너들이 창의적이며 지적인 면에서 지속적으로 배움을 구하지 않는 것에도 책임이 있습니다. 모바일이 우선되고, 일반적이며 프레임워크 위주로 개발이 이루어지는 시대에, 웹페이지의 시각적인 요소와 맥락이 갖는 완결성에는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원글보기

http://m.newspic.kr/view.html?nid=2020052117310710122&pn=317&cp=b3Khd93q&utm_medium=affiliate&utm_source=adpick&fbclid=IwAR2u80rS_EzmezojVTJuXpichH4LhKUKtaFGfp–KVn8XL8GAxPuyEmfMxc&apclid=8627216×159050859734